KO/바가바드 기따 있는 그대로 3.42
제42절
- 인드리야니 빠란냐후르 indriyāṇi parāṇy āhur
- 인드리예뱌 빠람 마나하 indriyebhyaḥ paraṁ manaḥ
- 마나사스 뚜 빠라 붇디르 manasas tu parā buddhir
- 요 붇데 빠라따스 뚜 사하 yo buddheḥ paratas tu saḥ
동의어
인드리야니: 감각들, 빠라니: 보다 뛰어난, 아후: 라고 한다, 인드리예뱌하: 감각들보다 더, 빠람: 보다 뛰어난, 마나하: 마음, 마나사하: 마음보다 더, 뚜: 또한, 빠라: 상급의, 붇디히: 지성, 야하: 하는 자, 붇데헤: 지성보다 더, 빠라따하: 상위의, 뚜: 그러나, 사하: 그는.
번역
활동하는 감각은 둔한 물질보다 우위에 있고, 마음은 감각보다 높으며, 지성은 마음보다 높고, 자아(영혼)는 지성보다 훨씬 더 높다.
주석
감각들은 욕망의 활동을 위한 여러 출구이다. 육신에 내재하는 욕망은 감각을 통해 표출된다. 이러한 출구는 상위의 의식, 즉 끄리쉬나 의식이 있을 때 그 문을 닫는다. 끄리쉬나 의식일 때 영혼은 최고인격신과 직접 관련을 맺는다. 그러므로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육체적 기능의 위계는 궁극적으로 초영혼에서 끝을 맺는다. 육체적 행위란 감각의 기능을 의미하며, 그 감각을 멈추게 한다는 것은 모든 육체적 행위를 멈춘다는 뜻이다. 그러나 마음은 가만히 있지 않아서 비록 육체가 조용하고 휴식 중이라도 마음은 수면 중의 꿈처럼 계속 활동한다. 그 마음 위에 지성의 결심이 존재하고, 그 지성 위에 영혼이 있다. 그러므로 영혼이 주와 직접 교류하면 다른 모든 부속 기관들, 이를테면 지성, 마음, 감각들은 저절로 그에 따르게 된다. 까타 우빠니샤드에서는 감각 만족의 대상이 감각보다 위에 있고, 마음은 그 감각 대상들보다 위에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마음이 항상 주의 봉사에 직접 종사하면 감각들이 다른 곳에 쓰일 기회가 없어진다. 이러한 정신으로 하는 태도는 이미 설명되었다. 빠람 드리쉬뜨바 니바르따떼(Paraṁ dṛṣṭvā nivartate). 마음이 주의 초월적 봉사에 종사하게 되면 하찮은 것에 끌릴 가능성이 없다. 까타 우빠니샤드에서 영혼을 마한(mahān), 즉 위대한 것으로 묘사했다. 그러므로 영혼은 모든 것, 즉 감각 대상, 감각, 마음, 그리고 지성보다 위에 있다. 그러므로 영혼의 근본 위치를 바로 이해하는 것이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다.
지성으로 영혼의 근원적 위치를 찾아야 하며, 그다음 마음을 항상 끄리쉬나 의식에 종사하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모든 문제를 푸는 열쇠이다. 영적 삶의 길을 가는 초심자들은 일반적으로 감각 대상들로부터 멀어지라고 조언받는다. 그러나 이에 더하여 지성을 활용하여 마음을 강하게 해야 한다. 지성으로 마음을 끄리쉬나 의식에 두면, 즉 최고인격신에 완전히 항복하면 마음은 저절로 강해지며, 비록 감각들이 구렁이처럼 강할지라도 이빨 빠진 구렁이와도 같이 위력이 더는 없게 될 것이다. 그러나 영혼이 지성과 마음, 그리고 모든 감각의 주인이라도 끄리쉬나 의식 안에서 끄리쉬나와의 교류로 힘을 얻지 않으면 마음의 동요로 언제든 타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