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바가바드 기따 있는 그대로 11.55

Revision as of 06:36, 31 July 2020 by Navakishora Mukunda (talk | contribs) (Bhagavad-gita Compile Form edit)
(diff) ← Older revision | Latest revision (diff) | Newer revision → (diff)
His Divine Grace A.C. Bhaktivedanta Swami Prabhupāda


제55절

맛-까르마-끄린 맛-빠라모 mat-karma-kṛn mat-paramo
맏-박따 상가-바르지따하 mad-bhaktaḥ saṅga-varjitaḥ
니르바이라 사르바-부떼슈 nirvairaḥ sarva-bhūteṣu
야 사 맘 에띠 빤다바 yaḥ sa mām eti pāṇḍava

동의어

맛-까르마-끄릿: 나의 일에 종사하는, 맛-빠라마하: 나를 절대자로 생각하는, 맏-박따하: 나를 향한 봉헌에 종사하는, 상가-바르지따하: 결실적 행위와 정신적 사색의 더러움에서 벗어난, 니르바이라하: 적 없이, 사르바-부떼슈: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 중에서, 야하: 하는 자, 사하: 그는, 맘: 나에게, 에띠: 오다, 빤다바: 오 빤두의 아들이여.

번역

나의 소중한 아르주나여, 나를 향한 순수한 봉헌에 종사하며, 결실적 행위와 정신적 사색의 더러움에서 벗어나, 나를 위해 일하고, 나를 자기 삶의 최고 목표로 삼으며, 모든 생명체에게 친절한 자는 반드시 나에게 오느니라.

주석

영적 하늘에 있는 끄리쉬나로까 행성에 계신 절대신의 모든 인격체 중 가장 높은 존재에게 이르고자 하며 최고인격신 끄리쉬나와 친밀하게 연결되고 싶어하는 누구라도 절대자 당신께서 직접 말씀하신 이 방식을 따라야 한다. 따라서 이 구절은 바가바드 기따의 핵심으로 여겨진다. 바가바드 기따는 속박된 영혼, 즉 세상을 지배하는 데 전념하여 진정한 삶, 영적 삶을 모르는 자들을 위한 책이다. 바가바드 기따는 자신의 영적 존재와 지고한 영적 인격과의 영원한 관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영원한 고향, 절대신께 돌아가는 방법을 가르치기 위한 것이다. 이제 여기 이 구절이 영적 행위에서 성공할 수 있는 과정, 봉헌을 명료히 설명한다.

일에 관해 보자면, 우리는 모든 에너지를 끄리쉬나 의식 활동에 쏟아야 한다. 박띠 라삼리따 신두(1.2.255)에서 말하기를,

아나삭따샤 비샤얀 anāsaktasya viṣayān 야타르함 우빠윤자따하 yathārham upayuñjataḥ 니르반다 끄리쉬나-삼반데 nirbandhaḥ kṛṣṇa-sambandhe 육땀 바이라걈 우쨔떼 yuktaṁ vairāgyam ucyate

끄리쉬나와 관련되지 않은 일은 어떤 것도 해서는 안 된다. 이것을 끄리쉬나-까르마라고 한다. 우리가 여러 활동을 하지만 그 일의 결과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 결과는 오직 끄리쉬나를 위한 것이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사업을 하는 자가 자기 행위를 끄리쉬나 의식으로 전환하고자 한다면 끄리쉬나를 위해 그 사업을 해야 한다. 끄리쉬나가 그 사업의 소유자라면 끄리쉬나가 사업의 이득을 누려야 한다. 수억 원을 가진 사업가가 이 전부를 끄리쉬나께 바쳐야 한다면 그는 그렇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끄리쉬나를 위해 일하는 것이다. 자기만족을 위해 큰 건물을 짓는 대신, 끄리쉬나를 위해 좋은 사원을 건축할 수 있고, 권위 있는 봉헌 계통의 지침서에 따라 끄리쉬나 신상을 세우고 신상을 위해 봉사할 수 있다. 이것은 모두 끄리쉬나-까르마이다. 자기가 한 일의 결과에 집착할 것이 아니라 그 결과를 끄리쉬나께 바쳐야 하며, 모든 것을 쁘라사담, 즉 끄리쉬나께 바친 봉헌물의 나머지로 받아들여야 한다. 끄리쉬나를 위해 아주 큰 건물을 짓고, 끄리쉬나 형상을 세운다고 해서 우리가 그곳에 사는 것이 금지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주인이 끄리쉬나라는 말이다. 바로 이것을 끄리쉬나-까르마라고 한다. 그러나 끄리쉬나를 위해 사원을 건축할 만한 능력이 없으면 끄리쉬나의 사원을 청소하는 일에 전념할 수 있다. 이것 역시 끄리쉬나-까르마이다. 정원을 가꿀 수도 있다. 땅을 가진 자는 누구나, 예를 들면 인도에는 아무리 가난한 자라 하더라도 약간의 땅을 가지고 있다. 끄리쉬나께 드릴 꽃을 그 땅에서 키울 수 있다. 아주 귀중한 뚤라시(tulasī) 잎을 얻고자 뚤라시 나무를 심을 수도 있는데, 바로 이것이 끄리쉬나께서 바가바드 기따에서 권장하고 계시는 바이다. “빠뜨람 뿌쉬빰 팔람 또얌(Patraṁ puṣpaṁ phalaṁ toyam).” 끄리쉬나께서는 우리가 잎 혹은 꽃, 과일이나 물을 바치길 원하시며 바로 그러한 바치는 행위에 기뻐하신다. 여기에서 말하는 잎은 특히 뚤라시 잎을 의미한다. 그래서 우리는 뚤라시 묘목을 심고 물을 주며 가꿀 수 있다. 따라서 아무리 가난한 자라고 해도 끄리쉬나를 위한 봉헌에 종사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끄리쉬나를 위한 일에 어떻게 종사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예이다.

맛-빠라마하(mat-paramaḥ)라는 말은 끄리쉬나의 지고한 보금자리에서 당신과 교류하는 것을 생의 가장 높은 완성으로 생각하는 자를 의미한다. 그러한 사람은 달, 태양 또는 다른 천상의 행성들, 심지어 이 우주에서 가장 높은 행성인 브라흐마로까로 승격되는 것조차 바라지 않는다. 그들은 그런 것에 어떠한 관심도 가지지 않는다. 오직 영계로 가고자 할 뿐이다. 영계에 가더라도 빛나는 브라흐마 죠띠의 광채에 들어가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끄리쉬나로까, 즉 골로까 브린다반과 같은 최고의 영적 행성에 이르고자 한다. 이 행성에 관해 완전히 알게 되면 다른 행성에는 전혀 관심이 없게 된다. 맏-박따하(mad-bhaktaḥ)라는 말이 가리키는 것처럼 그러한 자들은 특히 아홉 종류의 봉헌에 종사하는 과정, 즉 듣기, 구송하기, 기억하기, 숭배하기, 주의 연꽃 같은 발을 섬기기, 기도 바치기, 주의 명령을 수행하기, 주의 벗이 되기, 그리고 당신에게 모든 것을 바치기를 통해 봉헌에 전적으로 임한다. 우리는 아홉 과정 모두에 종사할 수도 있고, 여덟 개, 혹은 일곱, 또는 적어도 하나에 종사함으로써 우리 삶을 분명히 완벽하게 할 수 있다.

상가-바르지따하(saṅga-varjitaḥ)라는 말이 중요하다. 끄리쉬나께 적대적인 사람들과 어울려서는 안 된다. 무신론적인 사람뿐만 아니라 결실적 행위와 정신적 사색에 사로잡혀 있는 자들도 끄리쉬나께 적대적이다. 봉헌의 순수한 형태는 박띠 라삼리따 신두(1.1.11)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안야빌라쉬따-슌얌 anyābhilāṣitā-śūnyaṁ 갸나-까르마댜나브리땀 jñāna-karmādy-anāvṛtam 아누꿀예나 끄리쉬나누 ānukūlyena kṛṣṇānu- 실라남 박띠르 웃따마 śīlanaṁ bhaktir uttamā

이 절에서 스릴라 루빠 고스와미께서 순수한 봉헌을 행하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모든 물질적 더러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분명히 말씀하신다. 우리는 결실적 행위와 정신적 사색에 중독된 사람과 사귀지 말아야 한다. 바람직하지 않은 교제를 그만두고 물질적 욕망의 더러움을 씻으며 끄리쉬나에 관한 지식을 잘 배양할 때, 이것을 순수한 봉헌이라고 한다. “아누꿀랴샤 상깔빠 쁘라띠꿀랴샤 바르자남(Ānukūlyasya saṅkalpaḥ prātikūlyasya varjanam《하리 박띠 빌라사 11.676》).” 우리는 끄리쉬나를 생각해야 하며 비우호적이 아닌, 우호적으로 끄리쉬나를 위해 행동해야 한다. 깜사는 끄리쉬나의 적이었다. 끄리쉬나의 탄생 바로 그 순간부터 그는 끄리쉬나를 죽이려고 여러 계획을 꾸몄는데 항상 실패했기 때문에 늘 끄리쉬나를 죽일 생각만 했다. 일할 때도, 먹을 때도, 잠을 잘 때도, 그는 언제나 끄리쉬나를 생각했지만, 우호적으로 생각한 것이 아니어서 하루 스물네 시간 동안 끄리쉬나를 생각했음에도 그는 악마로 여겨진다. 그리고 마침내 끄리쉬나께 죽임을 당했다. 물론 끄리쉬나께 죽임을 당하는 누구나 즉시 구원을 얻게 되지만 이것이 순수한 헌애자의 목표는 아니다. 순수한 헌애자는 구원을 바라지 않는다. 심지어 최상의 행성, 골로까 브린다반에조차 가려고 하지 않는다. 순수한 헌애자의 유일한 목적은 어디에 있든 끄리쉬나를 섬기는 것이다.

끄리쉬나의 헌애자는 모두에게 친절하다. 따라서 여기에서 적이 없다(니르바이라하)고 말했다. 어째서 그런가? 끄리쉬나 의식의 헌애자는 끄리쉬나를 향한 봉헌만이 인간을 삶의 모든 문제에서 구원할 수 있다는 것을 안다. 그는 이에 관한 개인적 경험이 있어서 끄리쉬나 의식이라는 이 체계를 인간 사회에 도입하고자 한다. 이 신의식을 전파하고자 자기 목숨까지 위태로웠던 주의 헌애자에 관한 많은 예가 역사상으로 존재한다. 가장 잘 알려진 예가 예수님이다. 그는 비헌애자에 의해 십자가에서 처형당함으로써 신의식을 전파하고자 자기 목숨을 희생하셨다. 물론 그가 살해되었다는 것은 피상적인 이해일 수 있다. 이처럼 인도에도 타꾸라 하리다사와 쁘라흘라다 마하라자와 같은 예가 많이 있다. 그들은 왜 이러한 위험을 감수하는가? 그들은 끄리쉬나 의식을 전파하고자 했기 때문이고, 이것은 어려운 일이다. 인간이 고통받고 있는 것은 끄리쉬나와 자신의 영원한 관계에 대한 망각 때문이라는 것을 끄리쉬나 의식의 사람은 알고 있다. 따라서 인간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최고의 혜택은 자기 이웃을 모든 물질적 문제에서 구원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순수한 헌애자는 주의 봉사에 종사한다. 이제 우리는 모든 위험을 무릅쓰며 당신의 봉헌에 종사하는 자들에게 끄리쉬나께서는 얼마나 자비로우실지 상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람들은 몸을 떠난 후에 지고한 행성에 반드시 도달할 것이 확실하다.

요약하면, 끄리쉬나의 우주적 형상, 즉 일시적 현현이며 동시에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시간의 형상과 네 팔 형상의 비쉬누까지도 모두 끄리쉬나께서 드러내 보여주신 형상들이다. 따라서 끄리쉬나가 이 모든 현현의 기원이다. 끄리쉬나가 원래의 비스바 루빠 혹은 비쉬누에게서 현현된 것이 아니다. 끄리쉬나가 바로 모든 형상의 기원이다.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비쉬누가 있지만 헌애자에게는 어떠한 형상보다 원초적 형상, 두 팔 형상의 샤마순다라가 가장 중요하다. 브라흐마 삼히따에서 끄리쉬나의 샤마순다라 형상에 매료되어 사랑과 헌신으로 당신을 섬기는 자는 가슴속에서 항상 끄리쉬나를 볼 수 있으며 다른 어떠한 것도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제11장의 취지가 끄리쉬나 모습이 핵심이며 최상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로써 스리마드 바가바드 기따의 제11장, 우주적 형상에 대한 박띠베단따 주석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