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rabhupada 0019 - 네가 들은 것 모두를 다른 이에게 말하라: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Created page with "<!-- BEGIN CATEGORY LIST --> Category:1080 Korean Pages with Videos Category:Prabhupada 0019 - in all Languages Category:KO-Quotes - 1967 Category:KO-Quotes - Le...")
 
m (Text replacement - "(<!-- (BEGIN|END) NAVIGATION (.*?) -->\s*){2,15}" to "<!-- $2 NAVIGATION $3 -->")
 
Line 8: Line 8:
[[Category:Korean Language]]
[[Category:Korean Language]]
<!-- END CATEGORY LIST -->
<!-- END CATEGORY LIST -->
<!-- BEGIN NAVIGATION BAR -- TO CHANGE TO YOUR OWN LANGUAGE BELOW SEE THE PARAMETERS OR VIDEO -->
<!-- BEGIN NAVIGATION BAR -- DO NOT EDIT OR REMOVE -->
{{1080 videos navigation - All Languages|French|FR/Prabhupada 0018 - Fermement situé dans la foi aux pieds pareils-aux-lotus du guru|0018|FR/Prabhupada 0020 - Comprendre Krishna n'est pas si facile|0020}}
{{1080 videos navigation - All Languages|Korean|KO/Prabhupada 0018 - 구루의 연발에 굳건한 믿음으로|0018|KO/Prabhupada 0020 - 크리쉬나를 이해하는 것이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닙니다|0020}}
<!-- END NAVIGATION BAR -->
<!-- END NAVIGATION BAR -->
<!-- BEGIN ORIGINAL VANIQUOTES PAGE LINK-->
<!-- BEGIN ORIGINAL VANIQUOTES PAGE LINK-->
Line 19: Line 19:


<!-- BEGIN VIDEO LINK -->
<!-- BEGIN VIDEO LINK -->
{{youtube_right|pdYKs7lxUBA|네가 들은 것 모두를 다른 이에게 말하라<br />- Prabhupāda 0019}}
{{youtube_right|ZW7ba0X9LmU|네가 들은 것 모두를 다른 이에게 말하라<br />- Prabhupāda 0019}}
<!-- END VIDEO LINK -->
<!-- END VIDEO LINK -->


Line 39: Line 39:
그래서 ''śrotavyaḥ kīrtitavyaś ca dhyeyaḥ'' 그리고 ''pūjyaś ca:''. 그리고 경배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경배를 위한 신상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크리쉬나에 대해 생각하고, 이야기하고, 듣고 그리고 경배해야 합니다, ''pūjyaś ca''...  
그래서 ''śrotavyaḥ kīrtitavyaś ca dhyeyaḥ'' 그리고 ''pūjyaś ca:''. 그리고 경배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경배를 위한 신상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크리쉬나에 대해 생각하고, 이야기하고, 듣고 그리고 경배해야 합니다, ''pūjyaś ca''...  


그럼, 가끔씩? 아니요. ''nityadā :'' 정기적으로, 정기적. Nityadā, 이것이 과정입니다. 그러므로 이 과정을 따르는 누구나,  절대적 진실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Śrīmad-Bhāgavatam이 분명히 말하는 바입니다.  
그럼, 가끔씩? 아니요. ''nityadā.'' 정기적으로, 정기적. ''nityadā,'' 이것이 과정입니다. 그러므로 이 과정을 따르는 누구나,  절대적 진실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Śrīmad-Bhāgavatam이 분명히 말하는 바입니다.  
<!-- END TRANSLATED TEXT -->
<!-- END TRANSLATED TEXT -->

Latest revision as of 18:10, 1 October 2020



Jagannatha Deities Installation Srimad-Bhagavatam 1.2.13-14 -- San Francisco, March 23, 1967

만약 여러분이 저나, 저에 대한 것을 알고 싶다면, 여러분은 친구에게 물어볼 수 있지요, "오, 스승님 어때?" 그는 뭐라 하고, 다른 사람들은 또 뭐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제 자신을 설명할 때, "나의 입장은 이렇다. 나는 이렇다,"하는 것이 완벽합니다. 그것이 완벽해요. 그래서 만약 여러분이 절대적 최상의 하느님의 인격체를 알고 싶다면, 여러분은 추측이나 명상을 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불가능합니다, 왜냐면 여러분의 감각이 매우 불완전하기 때문에. 그래서 뭐가 좋은 방법입니까? 그냥 그로부터 들으세요. 그래서 그는 친절하게도 Bhagavad-gītā를 이야기하러 왔습니다. Śrotavyaḥ, "그저 듣도록 노력하라." Śrotavyaḥ and kīrtitavyaś ca. (SB 2.1.5). 만약 여러분이 크리쉬나 의식 수업에서 단순히 듣고 또 듣는다면, 그리고 나가서 잊는다면, 오, 좋지 않아요. 그렇게 향상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Kīrtitavyaś ca : "네가 들은 것 모두를 다른 이에게 말하라." 그것이 완벽함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Back to Godhead(매거진)를 만들었습니다. 학생들이 할 수 있게, 자신들이 들은 것 뭐든지를, 잘 생각하고 적어야 합니다. Kīrtitavyaś ca. 그냥 단순히 듣는 것이 아닙니다. "오, 나는 몇백 년을 들었는데도 아직 이해를 못 해" 이유는 만트라 구송을 안 하고, 들은 것을 다시 말하지 않아서입니다. 다시 말을 해야 돼요. kīrtitavyaś ca.

Śrotavyaḥ kīrtitavyaś ca dhyeyaḥ. 그리고 크리쉬나를 생각하지 않고 어떻게 글을 쓰거나 이야기를 합니까? 크리쉬나에 대해 듣고 있습니다, 생각을 해야 하고, 그 후에 말할 수 있습니다. 다르게는 안됩니다.

그래서 śrotavyaḥ kīrtitavyaś ca dhyeyaḥ 그리고 pūjyaś ca:. 그리고 경배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경배를 위한 신상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크리쉬나에 대해 생각하고, 이야기하고, 듣고 그리고 경배해야 합니다, pūjyaś ca...

그럼, 가끔씩? 아니요. nityadā. 정기적으로, 정기적. nityadā, 이것이 과정입니다. 그러므로 이 과정을 따르는 누구나, 절대적 진실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Śrīmad-Bhāgavatam이 분명히 말하는 바입니다.